인터넷 익스플로러(IE)는 6월 15일 지원이 종료되어 LGE.COM 홈페이지는 엣지(Edge)와 크롬(Chrome) 브라우저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원활한 사용을 위해 최적화된 브라우저를 설치하시면 홈페이지를 정상적으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전

LG전자는 기업의 가치를 창출하여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고민하고 실천합니다

LG전자는 경제, 사회, 환경 영역의 ESG 성과와 기타 성과를 투명하게 공시하고 있으며,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SASB(Sustainable Account Standards Board) 및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ESG 데이터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공통 표준(Universal Standards)

공통 표준(Universal Standards) 표, 정보공개 항목, 보고 내용
정보공개 항목 보고 내용
지표번호 지표명 내용 비고
102-01 조직 명칭 LG전자 주식회사  
102-02 대표 브랜드, 제품 및 서비스 기업소개 사업현황(p.7)  
102-03 본사의 위치 서울 영등포구 여의대로 128 LG트윈타워  
102-04 사업 지역 사업장  
102-05 소유 구조 특성 및 법적 형태 기업개요(p.6)  
102-06 시장 영역 기업개요(p.6) 사업보고서
102-07 조직의 규모 기업개요(p.6)  
102-08 임직원 및 근로자에 대한 정보 기업개요(p.6) 사회 데이터  
102-09 조직의 공급망 기업개요(p.6) 공급망 관리  
102-10 조직 및 공급망의 중대한 변화 - MC사업 철수(’21, 4월)
102-11 사전예방 원칙 및 접근 공급망 관리 정도경영 개요  
102-12 외부 이니셔티브 소속단체·수상경력 SASB TCFD  
102-13 협회 멤버십 소속단체·수상경력  
102-14 최고 의사 결정권자 성명서 CEO 메시지  
102-16 가치, 원칙, 표준, 행동강령 경영철학 정도경영 개요  
102-18 지배구조 지배구조  
102-19 권한위임 지배구조  
102-40 조직과 관련 있는 이해관계자 집단 리스트 중대성 평가  
102-41 단체협약 구성원  
102-42 이해관계자 파악 및 선정 중대성 평가  
102-43 이해관계자 참여 방식 중대성 평가  
102-44 이해관계자 참여를 통해 제기된 핵심 주제와 관심사 중대성 평가  
102-45 조직의 연결 재무제표 포함된 범위 경제 데이터 사업보고서
102-46 보고 내용 및 토픽의 경계 정의 보고서 개요(p.2)  
102-47 Material Topic 리스트 중대성 평가  
102-48 정보의 재기술 - 재기술 사항 없음
102-49 보고의 변화 - MC사업 철수(’21, 4월)
102-50 보고 기간 기업개요(p.2)2021.01.01~2021.12.31  
102-51 가장 최근 보고 일자 2021-2022 LG전자 지속가능경영보고서(2022.07)  
102-52 보고 주기 1년  
102-53 보고서에 대한 문의처 LG전자㈜ ESG실 | Email: sustainability@lge.com | Tel: 02-3777-3212  
102-54 GRI Standards에 따른 보고 방식 GRI Standards 핵심적 부합방법 (Core Option)  
102-55 GRI 인덱스 현재 페이지  
102-56 외부 검증 제3자 검증의견서(p.76-77)  
103 접근방법(Management Approach) 2021년 주요 환경 성과(p.8)
2021년 주요 환경 성과(p.17)
 

특정 주제 표준(Topic Specific Standards)

특정 주제 표준(Topic Specific Standards) 표, 정보공개 항목, 보고 내용
정보공개 항목 보고 내용
보고 주제 지표번호 지표명 내용 비고
경제성과 201-1 직접적인 경제적 가치의 창출과 배분 경제 데이터  
201-2 기후변화의 재무적 영향과 사업에 대한 위험과 기회 TCFD  
201-3 조직의 확정급여형 연금제도 채무 충당 경제 데이터  
201-4 정부 지원 보조금 수혜 경제 데이터  
시장현황 202-1 사업장의 현지 법정최저임금 대비 신입사원 임금 비율 사회 데이터  
202-2 주요 사업장의 현지 출신 고위 관리자 비율 사회 데이터  
조달관행 204-1 주요한 사업 지역에서의 현지 구매 비율 경제 데이터  
반부패 205-1 사업장 부패 위험 평가 사회 데이터  
205-2 반부패 정책 및 절차에 관한 공지와 훈련 사회 데이터  
205-3 확인된 부패 사례와 이에 대한 조치 사회 데이터  
공정거래 206-1 경쟁저해행위, 독과점 등 불공정한 거래행위 정도경영 준법경영 사업보고서
원부자재 301-3 제품 및 포장재 재생 원료 제품 전과정 책임  
에너지 302-1 조직 내부의 에너지 소비 환경 데이터  
용수 303-1 공급원별 취수량 환경 데이터  
303-3 용수 재활용 및 재사용 환경 데이터  
배출 305-1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Scope 1) 환경 데이터  
305-2 간접 온실가스 배출량(Scope 2) 환경 데이터  
305-3 기타 간접 온실가스 배출량(Scope 3) 환경 데이터  
305-4 온실가스 배출 집약도 환경 데이터  
305-7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그리고 다른 주요 대기 배출 환경 데이터  
폐기물 306-3 폐기물 발생 환경 데이터  
306-4 유형과 처리방법에 따른 폐기물 환경 데이터  
환경법규 준수 307-1 환경법규 위반 환경 데이터  
고용 401-1 신규채용과 이직 사회 데이터  
401-2 정규직 직원 대상의 보상 구성원  
401-3 육아휴직 사회 데이터  
안전보건 403-1 노사공동 안전보건위원회가 대표하는 전체 근로자 비율 안전·환경  
403-2 부상 유형, 부상 발생률, 업무상 질병 발생률 등 사회 데이터  
403-4 노동조합과의 정식 협약 대상인 안전보건 사항 안전·환경  
교육 404-1 임직원 1인당 평균 교육 시간 사회 데이터  
404-2 임직원 역량 강화 및 전환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원  
404-3 정기적 성과 및 경력 개발 리뷰를 받은 임직원 비율 사회 데이터  
다양성 405-1 거버넌스 기구 및 임직원 다양성 사회 데이터  
405-2 남성 대비 여성의 기본급 및 보상 비율 - 사업보고서
차별금지 406-1 차별 사건 및 이에 대한 조치 사회 데이터  
아동노동 408-1 아동노동 발생 위험이 높은 사업장 및 협력회사 공급망 관리  
강제노동 409-1 강제노동 발생 위험이 높은 사업장 및 협력회사 공급망 관리  
보안관행 410-1 사업 관련 인권 정책 및 절차를 교육받은 보안요원 비율 사회 데이터  
원주민 411-1 원주민 권리 침해사고 수와 이에 대한 조치 사회 데이터  
인권평가 412-1 인권영향 평가 혹은 인권검토 대상 사업장 사회 데이터  
412-2 사업과 관련된 인권 정책 및 절차에 관한 임직원 교육 사회 데이터  
지역사회 413-1 지역사회 참여, 영향 평가, 발전 프로그램 운영 사회 데이터  
413-2 지역사회 실질/잠재 부정적 영향이 존재하는 사업장 사회 데이터  
협력회사 사회 평가 414-1 사회적 영향 평가를 통해 스크리닝된 신규 협력회사 사회 데이터  
414-2 공급망 내 부정적인 사회 영향과 이에 대한 시행조치 사회 데이터  
고객 안전보건 416-1 제품 및 서비스군의 안전보건 영향 평가 사회 데이터  
416-2 제품 및 서비스의 안전보건 영향에 관한 규정 위반 사회 데이터  
마케팅 및 라벨링 417-2 제품 및 서비스 정보 라벨링 관련 규정 위반 - 2021년 위반사건 없음
사업보고서
417-3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관련 규정 위반 - 2021년 위반사건 없음
사업보고서
정보보호 418-1 고객개인정보보호 위반 및 고객정보 분실 관련 불만 사회 데이터  
법률준수 419-1 사회적, 경제적 영역의 법률 및 규제 위반 사업보고서

SASB (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

SASB(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 지속가능성 회계기준위원회)기준은 2011년 발족한 미국 지속가능성 회계기준 위원회가 발표한 산업별 지속가능성 회계기준입니다.
SASB 기준은 최초로 각 산업별 특수성을 고려하여 재무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지속 가능성 정보들을 ‘지속가능한 산업 분류체계(SICS)’에 따라 총 11개 영역 77개 산업별로 체계화하였습니다.
LG전자는 SASB 기준의 도입을 적극 지지하여 재무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은 Technology & Communications 영역 Hardware 산업의 지속가능성 정보를 2020년부터 공개하고 있습니다.

SASB 정보공개지표

SASB 정보공개지표, 구분, 측정지표, 카테고리, 단위, 코드, 보고내용, Contents
구분 측정지표 카테고리 단위 코드 보고내용 Contents
제품 보안 제품에서 데이터 보안 위험을 식별하고 해결하기 위한 접근 방식 논의 및 분석 N/A TC-HW-230a.1 개인정보 보호 및 제품 보안 정보보호
임직원 다양성 & 포용성 (1)경영진, (2)기술 직원, (3)기타 모든 직원의 성별 및 인종/민족 구성 비율 정량지표 % TC-HW-330a.1 지속가능경영 데이터 사회 데이터
제품 수명 주기 관리 IEC 62474 발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상품의 매출액 내 포함 비율 TC-HW-410a.1 -  
EPEAT 등록 요건,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요건을 충족하는 제품의 매출액내 포함 비율 TC-HW-410a.2 에너지 효율성 향상 제품 전과정 책임
ENERGY STAR 기준을 충족하는 제품의 매출액내 포함 비율 TC-HW-410a.3
수명 만료 제품 및 전자폐기물 회수 중량, 재활용률 톤, % TC-HW-410a.4 폐전자제품 회수 자원순환
공급망 관리 (a) 모든 시설 및 (b) 고위험 시설에 의한 RBA Validated Audit Process(VAP) 또는 동급 시설에서 감사한 1차 공급업체 시설의 비율 % TC-HW-430a.1 생산사업장 리스크 관리 공급망 관리
1차 공급업체의 (1) RBA Validated Audit Process(VAP) 또는 동급업체와의 부적합율 및 (2) (a)우선순위 부적합성 및 (b) 기타 부적합성에 대한 관련 시정조치율 TC-HW-430a.2 생산사업장 리스크 관리
원자재 조달 중요 원자재 사용과 관련된 리스크 관리 설명 논의 및 분석 N/A TC-HW-440a.1 협력회사와 함께 하는 지속가능경영 체계 구축 공급망 관리

TCFD Report

기후변화 이슈와 국제사회의 역할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상이변의 강도가 높아지고 발생 빈도가 증가하면서 기후변화가 우리 사회의 큰 위협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는 ‘Global Risk Report 2021’ 발행을 통해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감염병 이슈(Infectious Disease)와 함께 기상이변(Extreme Weather) 및 기후변화 대응 실패(Climate Action Failure) 등 기후변화 관련 이슈를 2021년 가장 위협적인 글로벌 이슈로 선정하기도 하였습니다.

국제사회는 1992년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정상회의에서 각국 정상이 기후변화 협약에 서명한 이래 지난 수십년간 그 중요성을 강조하며 논의와 협약을 지속해오고 있습니다. 2015년 12월에는 유엔 기후변화 회의에서 채택된 파리협정(Paris Agreement)을 통해 지구 평균 온도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 수준 대비 2℃ 이하로 유지하고 1.5℃까지 제한하는 구체적인 감축 목표를 설정하였습니다. 또한, 기후변화 관련 정부간 협의체인 IPCC(International Panel of Climate Change)는 제 5차 평가보고서를 통해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2℃ 이하로 유지하려면 2050년까지 2010년 기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40~70%를 줄여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이처럼 전 세계가 대응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기후변화 이슈는 기상이변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에너지 이용, 산업 내 생산 및 수송방식 등 글로벌 경제, 사회 구조 전반에도 큰 변화를 야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고 기후변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각국 정부에서는 다양한 정책과 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며, 기업들 역시 이에 발맞춰 탄소 배출량 저감, 재생에너지 사용, 저탄소 녹색기술의 개발 및 투자 등 사회, 경제, 무역 구조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LG전자는 기후변화를 다른 누군가가 아닌 ‘우리’가 책임지고 해결해야 할 핵심 이슈로 인식하고 이를 위한 방향성 및 전략을 수립하여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1년부터는 국제사회의 요구에 따라 TCFD 권고안에 부합하는 기후변화 관련 정보를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해 공개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보완하여 투명하게 공개해 나갈 계획입니다.

· TCFD (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TCFD는 G20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의 위임을 받은 금융안정위원회(Financial Stability Board)가 자발적이고 일관성 있는 기후 관련 정보공개를 요구하기 위해 설립한 태스크포스입니다. TCFD는 2017년 기후 관련 재무적 영향에 대한 정보공개 권고안(Recommendations)을 발표하였습니다. 권고안은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조직이 직면한 위험 및 기회요소를 식별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스, 지표, 목표 등을 상세하게 공개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 지배구조(Governance)
    • 기후변화와 관련된 위험과 기회에 대한 이사회의 감독
    • 기후변화와 관련된 위험과 기회를 평가하고 관리하는 경영진의 역할
  • 전략(Strategy)
    • 조직이 단/중/장기간에 걸쳐 파악한 기후변화와 관련 위험과 기회
    • 기후변화 관련 위험과 기회가 사업, 전략 및 재무 계획에 미치는 영향
    • 기후변화 관련 시나리오를 고려한 조직 전략의 회복탄력성
  • 위험관리(Risk Management)
    • 기후변화와 관련된 위험 식별 및 평가를 위한 조직의 프로세스
    • 기후변화와 관련된 위험 관리를 위한 조직의 프로세스
    • 기후변화 관련 위험 식별, 평가, 관리 프로세스의 조직 위험 관리 통합
  • 관리지표 및 목표(Metrics and Targets)
    • 기후변화 위험과 기회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
    • Scope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및 관련 위험
    • 기후변화 관련 위험과 기회 및 목표 대비 성과 관리 대상

1. 지배구조(Governance)

LG전자는 2021년 4월 이사회 산하 ESG 위원회를 신설하여 기후변화를 포함한 ESG 전반의 경영활동과 방향성을 검토 및 감독하고 있습니다.

아래 1) 기후변하 리스크와 기회에 대한 이사회 차원의 감독, 2) 기후변화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평가하고 관리하는 경영진의 역할 설명 참고.

1) 기후변화 리스크와 기회에 대한 이사회 차원의 감독

LG전자는 2021년 4월 이사회 산하 ESG위원회를 설립하였습니다. ESG위원회는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 전반의 방향성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목표에 대해 검토하고 의사 결정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사외이사 4인과 사내이사 1인으로 구성된 ESG 위원회는 기후변화 대응을 포함한 환경/안전 영역을 중점 분야 중 하나로 삼고 있습니다.

2) 기후변화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평가하고 관리하는 경영진의 역할

LG전자의 경영진은 기후변화가 LG전자 경영 전반, 더 나아가 국제 사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사안임을 인식하고 기후변화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특히, CEO를 위원장으로 주요 경영진(CFO, CHO, CTO, CSO)이 참여하여 전사 안전환경 및 기후변화 관련 이슈를 검토하는 안전환경위원회를 구성하여 기후변화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위원회는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목표 수립과 주요 대규모 감축사업에 대한 투자결정 등 기후변화 이슈와 관련된 주요한 사항에 대한 의사결정을 수행하고 있으며, 위원회를 통해 결정된 사항은 기업 정책으로 반영하여 시행하고 있습니다.

2. 전략(Strategy)

LG전자는 2030 탄소중립 목표와 이행이 장기적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기반한 전략임을 이해관계자에게 공개하고, 성과에 대한 정보공개 요구사항을 투명하게 하기 위하여 기후변화 리스크와 기회 분석을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대응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자 합니다. 이에 LG전자는 다음의 분석을 통해 기후변화 리스크와 기회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였습니다.

전략(Strategy) 표, 리스크 구분, 리스크 내용, 재무영향, 분류, LG전자 대응 방향성
리스크 구분 리스크 내용 재무영향 분류 LG전자 대응 방향성
전환 리스크
(Transition Risk)
정책
(Regulation)
현행
(Current)
- 배출권 구매 비용 증가
- 온실가스 배출 부채 증가
High 단기 LG전자는 한국 온실가스배출권거래제 대상 기업으로 한국 정부로부터 부여받은 온실가스 배출 허용량 대비 초과 배출한 경우, 온실가스 배출권을 구매하여 법규를 준수해야 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LG전자는 가전제품의 성장세로 인한 생산량 증가, 자동차 부품 사업 확대 등 향후 온실가스 배출량의 증가로 인한 배출권 구매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한국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 상승에 따른 구매 비용 증가로 온실가스 배출 부채 증가에 따른 재무 건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각 사업부문 및 에너지시설탐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보유 자산 및 신규 자산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 관련 위험 평가를 수행하고 있으며, 본사 안전환경그룹은 평가 결과를 통해 전사적인 정책 리스크를 검토 및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LG전자는 LG전자 탄소펀드를 마련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기술/설비 투자에 활용하고 있으며, 2021년도 한해동안 58만 톤 이상의 온실가스 감축을 통한 배출권 구매 비용 19억 원을 경감하였습니다.
신규
(Emerging)
신규 정책 미대응으로 인한 사업 운영 위험 발생 High 단기 탄소국경조정제도, 기후 리스크/기회 공시의무 확대 등 국내외 기후변화 관련 규제는 지속적으로 강화되는 추세에 있으며, LG전자는 다수의 해외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어 해외 국가에서 등장하는 새로운 규제들은 사업 전략이나 운영간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LG전자는 유럽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보이나, 적용 업종의 확대 등 지속적인 규제 강화에 대하여 ESG 위원회에서는 사업 운영간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신규 정책들을 모니터링 하여 지속적으로 검토 및 관리하고 있습니다.
법률(Legal) 매출 감소 및 거래 악영향 High 단기 기후변화 등 환경 관련 소송을 포함한 법적 문제는 LG전자의 명성과 브랜드 이미지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LG전자는 매년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너지 사용량을 한국정부에 보고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에 LG전자는 법적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본사 안전환경그룹을 중심으로 기후변화 관련 주요 법적 위험 사항에 대해 분석/대응하고 있습니다.

LG전자는 한국정부의 법적 요규사항에 따라 모든 사업장의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을 완료하였고, 매년 온실가스 배출량 명세서 및 제3자 검증 보고서 제출을 완료하였습니다.
기술(Technology) 기술 이전 및 신기술 개발 지연으로 인한 지출 증가 High 장기 에너지 효율이 높은 저탄소 친환경 제품에 대한 고객 니즈 확대와 함께 이러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기술 역시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각국 정부는 가전 제품에 대한 에너지 효율 등급 기준을 강화하는 등 고효율 에너지에 대한 요구 대응을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합니다.

LG전자는 기후변화 대응에 관련 기술 이전 또는 신기술 개발의 실패로 부터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들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시장(Market) 고객 선호 변화에 따른 기존 제품/서비스 수요 감소 High 중기 최근 시장 내 고객, 바이어들로부터 탄소배출과 재생 에너지 사용에 대한 정보 공개 요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구매자 요구사항의 미충족은 비즈니스 기회의 상실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 요소입니다. LG전자는 이러한 시장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자 각 개별 사업부서에서 관련 위험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ESG위원회를 통해 전사 차원의 위험요소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LG전자는 자동차 부품 사업을 확대 함에 따라, 완성차 바이어로부터 탄소중립 및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와 실행을 요구 받고 있습니다. 이에 2021년도 LG전자는 2030년까지 글로벌 생산사업장의 전력사용량 중 6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고, 2050년까지 100% 전환하는 중장기 재생에너지 전환계획을 추진중입니다.
평판(Reputation) 이해관계자의 부정적 견해 증가로 인한 투자 윷치 및 거래 리스크 발생 High 장기 기후변화 관련 LG전자의 평판 하락은 기후변화 대응을 중요한 투자 요소로 인식하는 투자자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결과로 조직의 자본조달 능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에 LG전자는 적극적으로 기후변화 대응 활동을 추진하고 성과를 관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대외적인 평판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2019년도에 LG전자는 203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하는 목표를 수립하고, 이행 로드맵을 수립하였습니다.

또한 LG전자의 탄소중립 목표에 대한 적정성 검증을 위해 2021년도에 과학적 기반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Science-based Target Initiative) 에 가입하여 목표 수준에 대한 검증을 완료하고 매년 이행 로드맵에 대한 진척상황을 공시함으로써 투자자, 이해관계자 및 일반 고객에 평판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물리 리스크
(Physical Risk)
급성(Acute) 자산 피해로 인한 비용 지출 Medium 단기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발생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열대성 사이클론과 같은 자연 재해는 단시간에 조직의 생산 시설, 건물 등 자산에 직접적인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LG전자는 이러한 급성 물리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각 사업장별 위험 평가를 정기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만성(Chronic) 사업 운용간 지출 비용 상승 Medium 장기 만성적인 물리적 위험은 사업 운영간 비용 상승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구온난화로 인해 LG전자 사업장 일대의 온도가 상승하면 일정한 온도 유지를 위해 시설 내 추가적인 에너지 사용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추가적인 운영비 상승 및 탄소 배출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LG전자는 장기적인 물리적 리스크, 특히 비용 상승을 초래하는 위험 요소에 대해 개별 사업부서에서 1차적으로 관리하며, ESG 위원회를 통해 전사적 차원의 논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3. 위험관리(Risk Management)

LG전자의 기후변화 관련 위험은 전사 안전환경협의체(Safety & Environmental Council) 주관으로 하향식(Top-down) 및 상향식(Bottom-up) 접근 방식을 통해 파악되며, 전사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에 통합 관리되고 있습니다.

상향식 식별 및 평가

  • 자산차원에서는 관리되어야 할 위험과 기회에 대해 일일 단위로 정의하고 실무차원에서 해당 사항들을 환경, 안전, 에너지/온실가스에 대한 사내 규정을 기반으로 매월 이행 현황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리는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50001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ISO 50001의 Plan, Do, Check and Act 의 선순환 구조를 적용하여 일일, 월간, 연간 계획하에 관리 하고 있습니다. 또한 LG전자의 특정 제품과 솔루션에 해당하는 위험과 기회는 개별 사업본부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 LG전자 ESG 위원회는 CEO 및 사외이사 가 참석하는 전체 사업부 및 모든 사업장을 아우르는 환경, 에너지/기후변화 등 ESG 전반의 이슈에 대한 최고의사결정기구입니다. 본 위원회에서 LG전자의 기후변화 위험 경감에 필요한 대규모 투자 의사결정, 기후변화와 관련된 신규 사업 승인 및 LG전자의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 전략 및 재생전력 사용확대에 대한 승인과 성과에 대한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각 사업부와 관리 조직의 전략과 목표는 본 위원회에서 확정된 전체적인 회사의 기후변화 정책과 방향성에 반영됩니다.

하향식 위험 식별 및 평가

기후변화 위험 관련 전사 통합적 관리를 위한 체계

기후변화 위험과 기회에 대한 전사적이고 통합적인 검토와 관리 조치에 대한 논의를 ESG 협의체에서 매 분기마다 다루고 있습니다. LG전자 기후변화 위험의 통합적 관리 접근법은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한편 새로운 기회에 대한 확보를 위해 해당 이슈와 관련된 모든 부서 및 책임자가 하나의 논의 프로세스에서 각 조직과 사업부에서 바라보는 문제점과 해결 방안, 새로운 기회 모색을 논의를 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습니다. ESG 협의체는 CFO 주관으로, 안건으로 상정된 이슈와 관련된 모든 부서의 의사결정권자가 참석하고 있으며, 각 사안별 위험 또는 기회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고 필요한 조치 방안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후변화 위험의 경감과 새로운 기회를 잡기 위한 재무 투자, 자원 투입 및 세부 전략을 수립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협의체에서 논의된 주요 쟁점은 CEO 및 ESG 위원회에 보고하여 추후 방향과 최종 결정을 내립니다.

LG전자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LG전자는 기후변화 관련 주요 위험 요소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고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반영하여 리스크 관리 방안을 수립 및 이행하고 있습니다.

1) 주요 리스크 정의

LG전자는 기후변화로 인한 리스크를 크게 사업적 영향과 사회적 인식 측면의 평판 영향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사업적 영향은 기후변화 리스크로 인한 영향이 프로젝트 또는 생산/판매 감소에 상응하는 재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 험이며, 발생 가능한 재정적 손실, 인명 피해 등의 항목별 사전 대응 전략을 수립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평판 위험은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기업 이미지 타격과 법적 제재 및 갈등으로 인한 재정적 손실이 발생하는 위험으로 정의됩니다. 특히, 소비재를 주력 상품으로 하는 LG전자는 법적 제재나 분쟁에 따른 기업 이미지 하락이 매출 부진과 감소로 이어질 수 있기에 평판 위험을 주요한 영향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물리적 위험은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발생 빈도와 강도의 증가에 따른 사업 운영간 비용 상승으로 시설, 건물 등 자산에 직접적인 피해 및 생산/판매 감소에 따른 재무적 위험입니다.

2) 시나리오별 LG전자 영향도 및 대응 방안

기후변화 시나리오 표, 항목명, 내용, LG전자 영향 및 대응
항목명 내용 LG전자 영향 및 대응
2 °C 시나리오 본 시나리오는 2100년도까지 인류의 화석연료 사용 등으로 인해 대기중 GHG농도를 CO2당 약 450ppm수준으로 제한하는 것입니다 (에너지 에이전시 450 시나리오) IEA1)는 지구평균기온상승 2 °C 이하 억제를 위해 2030년까지 국제사회가 신속하고도 차별화된 감축 수단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규제적 측면에서 한국을 포함한 OECD국가들 중심으로 배출권거래제가 도입되었으며, 2020년 이후 OECD 국가 이외 주요국 (중국, 브라질, 러시아 등) 도 동참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탄소저감을 위한 투자가 많아질 것이며 특히 효율개선, 재생에너지 및 원자력 등 화석에너지를 대체하는 에너지 발전원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그리고 선진국과 개도국의 탄소 저감 투자에 있어 OECD국가들 48%, 비OECD주요국 30%, 기타국가에서 18%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15여개 국가에 위치한 LG전자의 생산지에 대한 탄소세, 탄소국경조정 및 배출권거래제 등 온실가스배출관련 규제 리스크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글로벌 공급망을 통해 생산되는 LG전자의 제품 원자재 가격 상승의 리스크가 예상됩니다. 뿐만 아니라 에너지효율에 대한 요구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어, 가전제품 에너지 효율 경쟁력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R&D 투자와 신제품 출시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또한 LG전자는 IEA450 시나리오에 충분히 부합하기 위하여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 50%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SBTi2) 로부터 검증을 완료하였습니다.
4 °C 시나리오 본 시나리오는 현재의 인류가 기후변화 대응 정책이나 노력이 충분치 않으며, 신속하게 도전적인 목표와 전략을 추진하지 못할 경우 야기되는 지구온난화의 결과로써 치명적인 재난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특히, 4°C 시나리오에서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물리 리스크에 주목할 것이며, 해수면 상승에 다른 해안지역 사업장 피해, 지역별 수자원 고갈, 심각한 풍수해 등 글로벌 생산법인 및 공급망에 미칠 수 있는 피해에 대해 면밀한 검토와 사전적 적응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많은 자원을 투입해야 할 것입니다.
글로벌 생산기지 및 공급망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환경의 변화 적응력 향상을 위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점검하고, 사업전략의 변화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심각한 자연재해에 따른 Physical 한 위험으로부터의 대응 능력을 위한 투자를 강화하고 있으며, 2030년 탄소중립(LG전자 목표) 이외 추가적인 자구적 노력의 필요성을 체감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책 변화, 고객 인식 개선 등 사회적 변화에 기여할 수 있는 대외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 1)IEA: International Energy Agency
  • 2)SBTi: 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
기후변화 시나리오 표, 2 °C 시나리오, 4 °C 시나리오, 내용, LG전자 영향 및 대응
2 °C 시나리오
내용 본 시나리오는 2100년도까지 인류의 화석연료 사용 등으로 인해 대기중 GHG농도를 CO2당 약 450ppm수준으로 제한하는 것입니다 (from Energy Agency’s 450 Scenario) IEA1)는 지구평균기온상승 2 °C 이하 억제를 위해 2030년까지 국제사회가 신속하고도 차별화된 감축 수단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규제적 측면에서 한국을 포함한 OECD국가들 중심으로 배출권거래제가 도입되었으며, 2020년 이후 OECD 국가 이외 주요국 (중국, 브라질, 러시아 등) 도 동참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탄소저감을 위한 투자가 많아질 것이며 특히 효율개선, 재생에너지 및 원자력 등 화석에너지를 대체하는 에너지 발전원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그리고 선진국과 개도국의 탄소 저감 투자에 있어 OECD국가들 48%, 비OECD주요국 30%, 기타국가에서 18%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LG전자 영향 및 대응 15여개 국가에 위치한 LG전자의 생산지에 대한 탄소세, 탄소국경조정 및 배출권거래제 등 온실가스배출관련 규제 리스크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글로벌 공급망을 통해 생산되는 LG전자의 제품 원자재 가격 상승의 리스크가 예상됩니다. 뿐만 아니라 에너지효율에 대한 요구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어, 가전제품 에너지 효율 경쟁력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R&D 투자와 신제품 출시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또한 LG전자는 IEA450 시나리오에 충분히 부합하기 위하여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 50%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SBTi2) 로부터 검증을 완료하였습니다.
4 °C 시나리오
내용 본 시나리오는 현재의 인류가 기후변화 대응 정책이나 노력이 충분치 않으며, 신속하게 도전적인 목표와 전략을 추진하지 못할 경우 야기되는 지구온난화의 결과로써 치명적인 재난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특히, 4°C 시나리오에서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물리 리스크에 주목할 것이며, 해수면 상승에 다른 해안지역 사업장 피해, 지역별 수자원 고갈, 심각한 풍수해 등 글로벌 생산법인 및 공급망에 미칠 수 있는 피해에 대해 면밀한 검토와 사전적 적응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많은 자원을 투입해야 할 것입니다.
LG전자 영향 및 대응 글로벌 생산기지 및 공급망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환경의 변화 적응력 향상을 위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점검하고, 사업전략의 변화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심각한 자연재해에 따른 Physical 한 위험으로부터의 대응 능력을 위한 투자를 강화하고 있으며, 2030년 탄소중립(LG전자 목표) 이외 추가적인 자구적 노력의 필요성을 체감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책 변화, 고객 인식 개선 등 사회적 변화에 기여할 수 있는 대외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 1)IEA: International Energy Agency
  • 2)SBTi: 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

4. 관리지표 및 목표(Metrics and Targets)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

LG전자는 1.5°C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2030년까지 54.6% 감축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거시적 경제 변수 등을 고려한 현실적인 목표 설정을 위해 2021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에 대해 SBTi 검증을 완료하였습니다. LG전자는 해당 목표 달성을 위해 주기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실제 목표 달성을 위해 감축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 및 보완하겠습니다.

1) Scope 1 & 2 : 2030년까지 17년 배출량 대비 54.6% 절대량 감축 (2021년 SBTi 검증 완료)

(단위: 천 tCO2eq)
온실가스 배출량(Scope 1, 2) 표, 구분, 2021년, 2020년, 2019년
구분 2021년 2020년 2019년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 (Scope1) 한국 173 294 466
해외 160 146 137
간접 온실가스 배출량 (Scope2) 한국 325 382 385
해외 494 472 481
총계(Scope1 + Scope2) 1,152 1,294 1,469
온실가스 배출 집약도(원단위) 1.54/ 천억 원 2.05/ 천억 원 2.12/ 천억 원
  • ※ 검증 대상 사업장
    • - 한국 : 운영상 LG전자 통제 하에 있는 한국 사업장
    • - 해외 : LG전자 해외 생산 사업장(30개)
  • ※ 검증 원칙과 기준
    • - 한국 :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온실가스 거래제 운영을 위한 검증지침
    • - 해외 : ISO 14064-3:2006(온실가스 – 제 3부: 온실가스 선언에 대한 타당성 평가 및 검증을 위한 사용 규칙 및 지침)
  • ※ 검증 방식
    • - 한국 : LG전자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명세서, LG전자 온실가스 데이터 관리 및 수집, 배출량 산정 및 보고 프로세스
    • - 해외 : LG전자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서, LG전자 온실가스 데이터 관리 및 수집, 배출량 산정 보고 및 프로세스
  • ※ 2019년 제3자 해외 배출량 검증과정에서 데이터 수정사항을 발행하여 원단위 정정공시함

2) Scope 3 : 2030년까지 20년 사용단계 배출량 대비 20% 절대량 감축 (2021년 SBTi 검증 완료)

(단위: tCO2eq)
온실가스 배출량(Scope 3) 표, 구분, 2021년, 2020년, 2019년
구분 2021년 2020년 2019년
기타 간접 온실가스 배출량 (Scope3) 출장 11,581 20,692 58,337
사용단계 63,154,027 58,069,372 33,290,000
사내협력사(한국) 4,827 5,067 9,137
  • ※ 검증 현황: 임차건물, 임직원 출장 배출량 제3자 검증완료
  • ※ 임차건물에 대한 배출량 삭제사유: CDP 검증항목에서 제외함

3) 조직 에너지 사용량

(단위: TJ)
조직 에너지 사용량 표, 구분, 2021년, 2020년, 2019년
구분 2021년 2020년 2019년
재생 불가능 연료 LNG도시가스(한국) 632 879 827
LNG도시가스(해외) 714 741 772
석탄(한국) - - -
석탄(해외) - - -
기타(한국) 70 74 72
기타(해외) 500 658 534
소계 1,916 2,352 2,205
재생에너지 태양열 19 6 5
풍력 - - -
바이오메스 - - -
기타 233 79 62
소계 252 85 67
에너지 구매 전기(한국) 2,508 2,904 2,946
전기(해외) 2,942 2,726 2,664
스팀(한국) 397 394 395
스팀(해외) 3 3 6
  • ※ 검증 대상 사업장
    • - 한국 : 운영상 LG전자 통제 하에 있는 한국 사업장
    • - 해외 : LG전자 해외 생산 사업장(30개)
  • ※ 검증 대상 에너지: 사업장 내의 연소 설비 사용 및 외부 공급 전력, 열 사용
  • ※ 에너지 사용량 계산: 순발열량 기준이며 스팀은 한국 폐열회수 스팀사용량 포함
  • ※ 검증 현황: 제3자 검증 완료(냉매 탈루 배출량 제외)
  • ※ 2020년 에너지 구매 데이터 변경 : 2021년 에너지 사용량 제3자 검증 완료된 전기 사용량 적용

4) 2030 탄소중립 목표

  • 2030년까지 17년 배출량 대비 50% 절대량 감축
    • 배출량 감축을 위해 설비 투자 지속 (최초 투자시점은 2015년 이었으며, 매년 투자 규모 늘리고 있음)
    • - 에너지효율 개선, 저효율 노후설비 교체 등
  • UN CDM 감축 프로젝트 참여를 통한 온실가스 저감
    • 인도 냉장고/에어컨 등 LG전자의 고효율 제품을 보급 확대하여, 사용단계 배출량 감축 기여
    • UN으로부터 감축 실적에 대한 인증, CER 확보 중
  • 재생에너지 확대
    •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 100%로 전환할 계획
      특히, LG전자의 북미 지역 전체 2021년 내 100% 전환, 글로벌 생산법인은 2025년까지 100% 전환(한국 제외)

GRI, SASB, TCFD index 다운로드

GRI, SASB, TCFD index 페이지의 내용을 한번에 확인하세요~

PDF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