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익스플로러(IE)는 6월 15일 지원이 종료되어 LGE.COM 홈페이지는 엣지(Edge)와 크롬(Chrome) 브라우저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원활한 사용을 위해 최적화된 브라우저를 설치하시면 홈페이지를 정상적으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전

LG전자는 기업의 가치를 창출하여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고민하고 실천합니다

협력사

LG전자는 신뢰와 소통, 변화와 혁신, 공동운명체라는 동반성장 사상을 근간으로 차별화된 상생협력 활동과 공정거래 자율 준수를 통하여 협력사와 지속 성장하며 새로운 미래를 함께 만들어 갈 것입니다. 또한, 흔들리지 않는 신뢰의 동반성장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동반성장 5대 전략과제”를 선정하여 협력사 경영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지원 활동을 추진해 나가고 있습니다.

상생협력 추진 전략

상생협력 추진 전략. 자세한 내용은 다음 내용 참조 상생협력 추진 전략. 자세한 내용은 다음 내용 참조
협력사와 함께 하는 미래 지속성장을 향한 힘찬 도전 공정거래동반성장
  • 신뢰와 소통
    • 정도경영
    • 공정경쟁
  • 변화와 혁신
    • 제조 경쟁력
    • 일등정신
  • 공동 운명체
    • 사회적 책임
    • 상호 win-win

동반성장 5대 추진 과제

동반성장 5대 추진 과제. 자세한 내용은 다음 내용 참조 동반성장 5대 추진 과제. 자세한 내용은 다음 내용 참조
상생(相生)
  • 경쟁력 강화
    • 자동화 / 정보화 / RPA구축 지원
    • 품질·생산성개선 지원
  • 차세대 기술 지원
    • 부품 국산화 개발 지원
    • 기술임치 / 아이디어 제안제도
  • 교육/인력 지원
    • 동반성장 아카데미
    • 현장개선 전문가 무상 컨설팅
  • 상생소통 강화 지원
    • VOS 청취 시스템
    • 동반성장 포털 시스템
  • 자금 지원
    • 무이자직접자금
    • 상생협력펀드
    • 상생결제 시스템

공급망 리스크 관리

  • LG전자 주요 협력사 현황

    LG전자 주요 협력사 현황 - 구분, 단위, 2024년 정보 제공
    구분 단위 2024년
    1차 협력사1) 개사 1,283
    핵심 1차 협력사2) 228
  • LG전자 협력사 구매비중

    LG전자 협력사 구매비중 - 구분, 단위, 2024년 정보 제공
    구분 단위 2024년
    1차 협력사1) % 100
    핵심 1차 협력사2) 70
  • 1) 1차 협력사 : 구매액 1억 미만, Agency, 비 제조사, 서비스 등의 협력사 제외
  • 2) 핵심 1차 협력사 : 거래금액/비중, ESG 관리 여부 및 미래핵심기술부품을 공급하는 업체들과 부품의 특수성으로 인해 집중관리가 필요한 업체들을 핵심 협력사로 관리
  • LG전자는 RBA 기준에 따라 근로자의 노동인권, 안전보건, 환경, 기업윤리 등 리스크 항목을 점검하고, 협력사가 주도적으로 근로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선도하여 공급망 전체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있음
  • 협력사 CSR 관리시스템을 통해 협력사 자가점검, 현장점검, 제3자 ESG 경영관리 적합성인증의 관리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운영
  • 고위험 협력사 및 주요 협력사는 현장점검을 통해 발견된 부적합 사례를 개선토록하고 CSR 관리교육을 실시하여 협력사 주도의 리스크 관리역량 강화
  • 향후에도 고위험 협력사의 비중을 지속적으로 축소해나갈 것이며 1차 협력사 주도에 하위 협력사 리스크까지 관리 될 수 있도록 지원 예정

신규 협력사 등록 검토 절차1)

  • LG전자는 신규 협력사 등록 시, 당사의 ESG 평가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협력사로 등록하고 있음
  • 우선적으로 협력사 행동규범 및 국제무역규제 준수 여부를 확인하며, 이후에는 TQRDCME(100%)2) 항목을 기준으로 종합적인 신규 협력사 평가 진행
  • 평가의 일부 세부 항목은 제품군별 부품 특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M(Management) 항목은 ESG 이행 요구사항 준수여부에 따라 가중치 적용
  • 신규 등록 후에도 매년 정기평가를 진행하고, 평가 등급에 따라 인센티브(물동 증량, 개발 우선권 부여)를 제공함으로써 협력사가 ESG 역량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
  • 1) 자사 시스템에 등록되는 원부자재 협력사를 대상으로 검토 수행
  • 2) TQRDCME(100%): Technology(10%), Quality(30%), Responsiveness/Delivery(10%), Cost(30%), Management(20%/ESG 평가 포함), Environment
신규 협력사 등록 검토 절차. 자세한 내용은 다음 내용 참조 신규 협력사 등록 검토 절차. 자세한 내용은 다음 내용 참조
  1. 거래희망신청 협력사
  2. 등록검토 구매
  3. 무역 규제대상 확인 준법감시
  4. 사후관리 구매

협력사 ESG 리스크 관리

  • LG전자는 공급망 관리 대상 선정부터 정기적인 실사까지 체계적인 공급망 관리 프로세스를 운영
  • 2020년부터 자체 개발한 관리 시스템을 통해 협력사 자가점검 실시(매년)
  • 자가점검 결과 고위험으로 평가된 협력사에 대해서는 현장심사와 개선활동을 수행
  • 협력사 인권 실사를 통해 잠재적인 인권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식별하고 인권 침해 가능성을 사전에 예방하며, 부정적인 영향이 확인될 경우 시정 조치를 마련하도록 지원하여 재발 방지를 위해 노력
  • 생산사업장을 대상으로 보다 전문화된 안전환경 현장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며, 협력사에는 화재안전에 중점을 둔 현장점검 시행 (매년)
  • 2022년부터는 주요 협력사를 대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조사를 시작하여 환경 분야 리스크 관리도 강화

협력사 PDF 다운로드

협력사 페이지의 내용을 한번에 확인하세요~

PDF 다운로드

분쟁광물

LG전자는 공급망에서 발생 가능한 리스크를 평가 및 관리할 뿐 아니라 주요 원부자재 및 광물의 생산, 조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사와 제련소를 점검 및 평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글로벌 단체와 협업하여 공급망의 지속가능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또한, 협력사를 대상으로 책임있는 광물 사용에 대한 인식 개선 교육을 진행하고, 인증 제련소 사용을 통해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책임있는 광물 사용 인증 제련소(RMAP Conformant) 100% 사용

  • 분쟁지역에서 채굴되는 광물, 또는 채굴 과정에서 노동/인권 침해, 환경훼손을 유발하는 광물을 사용하지 않기 위해 노력
  • 협력사 제품 및 부품에 포함된 4대 분쟁광물(탄탈륨(Tantalum), 텅스텐(Tungsten), 주석(Tin), 금(Gold))의 원산지 모니터링 및 공급망 내 제련소 대상으로 RMAP(Responsible Mineral Assurance Process) 인증 요구
  • LG전자는 분쟁광물 관련 글로벌 산업 표준인 RMI(Responsible Mineral Initiative)와 미국 정부 및 NGO 등이 참여하는 PPA(Public-Private Alliance for Responsible Minerals Trade) 회원사로서 분쟁광물 추적체계 구축을 위한 정보 제공
  • 협력사를 대상으로 책임 있는 광물 사용에 대한 인식 개선 교육 진행, LG화학, LG디스플레이 등과 함께 공동으로 협력사에 RMAP 인증 제련소 사용 권고
  • 4대 분쟁광물 이외에도 코발트, 운도 등 강제노동, 아동노동 등의 이슈가 있을 수 있는 광물의 원산지 추적을 위한 글로벌 활동에 동참
  • 신규 부품 도입 또는 제련소 인증 현황의 변동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미인증 제련소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인증 제련소 100% 사용을 목표로 설정하여 주기적인 점검과 정비 작업 수행
  • 2021년 1월 RMI 제련소 데이터 기준으로 인증제련소 100%를 달성(광물별로는 탄탈륨과 텅스텐은 2019년에, 주석은 2020년에, 금은 2021년에 각각 목표 달성)
    다만, 인증 현황은 시장 상황 및 공급망 구성의 변화에 따라 매년 변동 가능성이 있으므로, LG전자는 인증 제련소 100% 사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점검과 지속적인 관리

분쟁광물 관리

분쟁광물 PDF 다운로드

분쟁광물 페이지의 내용을 한번에 확인하세요~

PDF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