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익스플로러(IE)는 6월 15일 지원이 종료되어 LGE.COM 홈페이지는 엣지(Edge)와 크롬(Chrome) 브라우저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원활한 사용을 위해 최적화된 브라우저를 설치하시면 홈페이지를 정상적으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전

LG전자는 기업의 가치를 창출하여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고민하고 실천합니다

LG전자는 윤리적, 공공적 책임을 적극적으로 이행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가 속한 사회를 돌아보고 소외계층이 자립할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이 모든 활동 과정에서 LG전자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끊임없이 소통하며 신뢰 관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생산사업장 폐기물 재활용률 95% 달성(~2030년)

  • 한국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관련 회수 운송 체계 구축 및 재활용 기술에 대한 연구 등을 통해 효율성 향상
  • 재활용 부과금 제로, 이슈 제로를 목표로 폐가전 회수량 증대 및 리스크 제거를 위한 자원순환 프로그램 추진
  • 생산공정 및 재활용 체계의 지속 개선을 통해 폐기물 발생량 감축 및 재생원료 사용 확대 중

CRC(Chilseo Recycling Center) 운영(2001년 설립)

  • 경남 지역의 폐가전제품 재활용 처리 및 환입제품 분석
  • 자원 줄이기 외에도 폐가전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리사이클링 공정을 거쳐 친환경적으로 처리
  • 폐가전 회수 및 제품 기획 단계에서부터 자원순환을 고려한 제품 친환경 설계 기반 연구 수행
  • 재생 자원 활용이 가능한 신기술 개발
  • 환경 오염 최소화를 유도하는 환경성보장제도1) 준수

1) 환경성보장제도: 전기전자제품의 설계, 생산단계부터 폐기단계까지의 전 과정에 거쳐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환경 오염 최소화를 유도하는 제도
(전기, 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

폐전자제품 회수 및 재활용 규제 준수

  • 사업장이 위치한 각 국가의 현행 규제에 대응하여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전기전자제품 회수/처리 서비스를 운영하며 규제가 없는 사업 지역까지 서비스 확대
  • 지역별 회수 시설 및 체계 등 폐전자제품 관리에 해당되는 정보 공개 및 홈페이지를 통한 글로벌 폐전자제품 회수/처리 정책 공시
  • 2003년부터 시행된 ‘생산자책임 재활용제도’에 동참하여 폐전자제품의 무상 회수 서비스 운영

‘개별 생산자 책임’ 제도 지지

  • 생산자 폐전자제품 회수 책임에 대한 개별 생산자 책임(IPR: Individual Producer Responsibility) 준수
  • 폐전자제품의 재활용가능성 향상, 폐기 과정의 매립 및 소각에 따른 환경영향 저감 노력
  • 제품의 재활용 가능성 향상을 위해 제품 개발 단계에서부터 재활용성에 대한 평가 실시

폐전자제품 무상 회수 프로세스(한국)

1단계 고객 회수신청 접수, 2단계 대형 가전은 설치 전문가 직접 방문 후 회수, 소형 가전은 LG전자 서비스 센터 전용 수거함을 통해 회수, 3단계 폐전자제품 분해 및 분류, 4단계 원자재로 재활용 1단계 고객 회수신청 접수, 2단계 대형 가전은 설치 전문가 직접 방문 후 회수, 소형 가전은 LG전자 서비스 센터 전용 수거함을 통해 회수, 3단계 폐전자제품 분해 및 분류, 4단계 원자재로 재활용

폐전자제품 회수/처리 서비스(해외)

  • 폐전자제품에 관한 WEEE(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규제와 각 국가의 요구사항 반영
  • 54개국 89개 지역에서 폐전자제품 회수처리 서비스 제공(2023년 말 기준)
  • 신규 지역: 자발적 재활용 정책을 확대하기 위해 규제 분석 및 대상 국가의 정부, 산업단체들과 사전 의견 교환 및 대응 방안 논의 후 서비스 도입

폐전자제품 회수/처리 실적

(단위: 톤)
폐전자제품 회수/처리 실적 - 지역, 2021년, 2022년, 2023년 정보 제공
지역 2021년 2022년 2023년
유럽1) 155,598 152,185 126,739
한국 124,764 121,831 131,506
북미2) 26,576 27,572 30,979
아시아3) 112,705 148,221 134,061
CIS4) 22,602 23,677 10,291
중남미5) 3,008 16,545 51,350
아프리카6) - 7,394 7,298
  • 1) 일부 유럽 국가들의 수치는 예측값이 사용됨
  • 2) 북미 : 미국, 캐나다
  • 3) 아시아 : 일본, 인도, 호주, 싱가폴
  • 4) CIS : 러시아
  • 5) 중남미 : 브라질, 콜롬비아, 멕시코, 페루, 파나마
  • 6) 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지역 내 국가별 회수실적 보고 시기가 상이하고, 데이터 실제 측정값이 변동됨에 따라 2021년 전체 데이터 정정

2006년 이후 폐전자제품 누적 회수/처리 연도별 실적

2006년 이후 폐전자제품 누적 회수/처리 연도별 실적 차트. 자세한 내용은 다음 내용 참조

(단위: 톤)

2006년 이후 폐전자제품 누적 회수/처리 연도별 실적 - 연도, 실적 정보 제공
연도 실적
2023 4,509,541
2022 4,017,317
2021 3,519,892
2020 3,074,638
2019 2,661,571
2018 2,306,374
2017 2,057,229
2016 1,825,644
2015 1,606,872
2014 1,392,409
2013 1,179,351
2012 983,363
2011 806,899
2010 618,635
2009 409,726
2008 242,249
2007 134,114
2006 56,480

* 일부 지역은 국가별로 회수실적을 보고하는 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보고서 발간 시 자료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 전년도 회수실적 또는 주변 국가의 회수율을 사용한 예측값을 보고함. 따라서 다음 연도 보고서 발간 시 소폭 조정될 가능성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