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익스플로러(IE)는 6월 15일 지원이 종료되어 LGE.COM 홈페이지는 엣지(Edge)와 크롬(Chrome) 브라우저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원활한 사용을 위해 최적화된 브라우저를 설치하시면 홈페이지를 정상적으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전

LG전자는 기업의 가치를 창출하여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고민하고 실천합니다

LG전자는 윤리적, 공공적 책임을 적극적으로 이행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가 속한 사회를 돌아보고 소외계층이 자립할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이 모든 활동 과정에서 LG전자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끊임없이 소통하며 신뢰 관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제품 평가

  • 2011년 제품의 환경성을 평가하는 LG전자만의 평가지수 에코인덱스(Eco-Index) 도입
  • 제품의 친환경성 평가를 통해 에코디자인 수준을 정량화 하는 평가지수로, 각 제품군과 제품모델의 친환경성 수준에 따라 Green 1 Star, 2 Star, 3 Star 총 3등급으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지표
  • 제품 개발 환경의 변화 추이를 분석 및 반영하여 에코인덱스 기준 운영 및 관리
  • 에코인덱스 기준 가장 높은 수준의 친환경 제품인 Green 3 Star 비율 확대

Green 3 Star 제품 개발 성과 및 목표

  • 자체 친환경 제품 평가에 의한 Green 3 Star 등급 제품 비중 80% 달성(~2030년)
Green 3 Star 제품 개발 성과 및 목표, 단위, 2020년, 2021년, 2022년
단위 2020년 2021년 2022년
% 46 41 53

* 개발 프로젝트 수 기준

에코인덱스 평가 기준

분야/등급, Green 1 Star, Green 2 Star, Green 3 Star
분야/등급 Green 1 Star Green 2 Star Green 3 Star
인간 (Human) 유해물질 규제 만족 자발적으로 선행하여 유해물질 대체
에너지 (Energy) 에너지 규격 만족 시장 평균 효율 달성 경쟁우위 고효율 확보
자원 (Resource) 재활용 규제 충족 자원 효율성 향상 설계
혁신 (Innovation) 친환경 제품 선행 활동 수행 (제 3자 인증, 선행기술 개발 등)

제품 전과정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 수행

  • ‘제품 전과정평가’ 기법을 통해 제품 전과정에서 환경이 미치는 영향 분석 및 관리
  • 홈페이지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해 고객에게 자사 제품의 지구 온난화 영향, 탄소배출량 정보 공개, 이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탄소성적표지(한국), Carbon Trust 인증(유럽) 등 제3자 인증 획득 확대
  • TV, 에어컨 등 제품에 한국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녹색기술 인증 확대 적용

제품 전과정평가 추진 경과

연도, 주요 내용
연도 주요 내용
1995 전과정평가 기법 도입
2002 주요 제품군 전과정평가 수행 및 제3자 인증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TV, 모니터, 휴대폰)
2009 주요 제품군 탄소배출량 산정 및 결과 공개
2011 전과정 목록분석 DB 구축 및 제 3자 인증
2016 주요 제품군 개발단계 전과정평가 의무화, 간이 전과정평가(Simplified LCA*) Tool 개발
2018 간이 전과정평가 Tool 기능 개선 (지구온난화 포함 13개 영향범주로 평가 확대)

주요 제품 전과정 단계별 탄소배출량 비중

전과정 단계, 제조 전, 제조, 수송, 사용, 폐기
전과정 단계 제조 전 제조 수송 사용 폐기
냉장고 18.8 0.9 0.5 79.2 0.5
세탁기 39.0 0 1.0 59.4 0.6
에어컨 26.8 0.2 0.4 70.9 1.8
TV 49.4 0.1 1.0 48.7 0.8
모니터 47.9 0.2 0.1 51.3 0.6

* 2022년 제품군별 특정모델에 대한 탄소배출량 산정 결과 기준

산업통상자원부 녹색기술 인증 현황

기술 명칭, 인증일자, 유효기간
기술 명칭 인증일자 유효기간
안면인식 기반 PC용 부재인식 대기전력 저감기술 2022.01.20 2025.01.19
축관통 하부압축 스크롤 압축기를 적용한 신개념 인버터 에어컨 기술 2021.07.29 2024.07.28
Control IC 내부 X-capacitor 방전 기능을 적용한 TV 대기전력 절감 기술 2018.05.17 2024.05.16

제품 사용단계 탄소배출량 20% 감축 (~2030년)

  • 2030년까지 2020년 대비 7대 제품군 전 모델 사용단계 탄소 기능단위 배출량 20% 저감 목표 수립
  • 냉장고, 세탁기, 모니터, TV, 건조기, 상업용 및 가정용 에어컨 제품을 대상으로 탄소배출량 저감 및 소비전력 개선 활동 수행

재활용 플라스틱 60만 톤 사용(~2030년)

  • 2021년부터 2030년까지 누적 재활용 플라스틱 60만 톤 사용 목표 수립
  • 폐전자제품 회수 확대,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 확대 등의 플라스틱 사용 저감 활동 수행

인간:환경 유해성 개선

유해물질의 자발적 대체

  • 개발 과정에 유해물질(납, 수은, 카드뮴, 6가 크롬, PBB, PBDE) 등의 사용을 금지하는 RoHS, REACH 등 국제환경규제 준수
  • 규제 대상물질의 사용 전면 금지하고, 인체에 유해하고 환경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독성물질에 대한 대체 기술부품 개발 및 제품 적용
  • 안전성과 신뢰성 테스트를 통해 염화비닐수지(PVC: Polyvinyl chloride), 브롬계 난연제(BRFs: Brominated Flame Retardants) 등의 유해물질 대체
  • 제품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유해물질을 대체하는 기술 및 부품 지속 개발, 다수의 제품에 확대 적용
  • 제품에 사용된 살생물질 정보에 대한 공급망 관리 실시
  • 공정 과정에서도 독성물질이 사용되지 않도록 관리
연도, 주요 내용
연도 주요 내용
2010년 휴대폰 제품군 내 전 제품에 PVC, BFRs의 사용 전폐
2011년 프탈레이트(Phthalate), 베릴륨(Beryllium) 유해물질에 대해 자발적 대체
2012년 삼산화 안티모니(Antimony trioxide) 등의 유해물질에 대해 자발적 대체
UHD OLED TV 내부 케이블 내 PVC 대체
2013년 냉장고 PVC 미사용 소음 저감부품(Skirt Lower) 개발하여 적용
2015년 브롬계 난연제의 일종인 HBCD(Hexabromocyclododecane)를 제품 및 포장재에서 모두 제거
  • * PBB: Polybrominated biphenyls, 폴리브롬화 비페닐
  • * PBDE: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 폴리브롬화 비페닐 에테르

유해물질 관리 기준

  • 국가별 규제 및 국제 협약에 따라 LEVEL A-I, A-II, B로 유해물질을 분류하여 관리
  • LEVEL A-I
    (사용 금지 물질)

    • LEVEL A-I: EU의 RoHS 규제에 정해진 10대 유해물질
    • [대상 유해물질]
      • - 납, 수은, 카드뮴, 6가 크롬 및 그 화합물 등 중금속
      • - PBB, PBDE 등 브롬계 난연제
      • - 프탈레이트 4종 (DEHP, DBP, BBP, DIBP)
  • LEVEL A-II
    (EU RoHS 이외 사용 금지 물질)

    • LEVEL A-II: RoHS 규제 이외의 국가나 국제 협약에 따라 금지된 규제 물질
    • [대상 유해물질]
      • - 염소계 화합물
      • - 석면, 유기 주석계 화합물
      • - 포름알데히드, 오존층 파괴 물질 등
        (PCBs, PCNs, PCTs, VOC, HBCD, Bisphenol A, 니켈과 화합물 등)
  • LEVEL B
    (자발적 대체 및 관찰 물질)

    • LEVEL B: 감시 대상이거나 삭감해야 하는 물질
    • [대상 유해물질]
      • - PVC로 알려진 염화비닐수지, 프탈레이트, 베릴륨, 팔라듐, 비스무스 및 기타 염소계 난연제(EU REACH SVHCs, California Proposition 65 등에서 규정한 물질 및 PVC, PCP 등)

유해물질 대체 현황

OLED/울트라 DTV, 노트북, 모니터
OLED/울트라 DTV 노트북 모니터
  • 2013년 PVC Free 내부 케이블 적용
  • 무수은 디스플레이 패널 적용
  • 2013년부터 PVC/BFRs 미사용 노트북 출시 중 (FPCB, CARE, PCB, 베터리, 어댑터, 키보드, 케이블, 터치패드, 열모듈, 케이블 커넥터, 마우스 및 파워코드 제외)
  • 2011년 PVC 미사용 LCD 모듈 전 모델 적용
  • 2013년 PVC/BFRs 미사용, LCD 모듈 전 모델 적용

친환경 공급망 관리(Green Program Plus)

    • 친환경 기술 및 노하우 전수를 통해 협력회사의 친환경 경쟁력을 제고하고, 동반성장의 기반 마련을 위한 ‘Green Program Plus(GP Plus)’ 운영(2005년~)
    • 제품 내 유해물질 관리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Green Plus Program의 관리 범주를 협력회사까지 확대 운영
    • 공급망에 대한 친환경 관리 강화, 글로벌 환경규제의 사전 대응을 통해 협력회사의 친환경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그린 파트너십 확보

협력회사 교육 및 기술 지원

  • 협력회사와의 그린 파트너십 강화를 위해 매년 협력회사 환경담당 실무자와 LG전자 그린 파트너십 담당 임직원 대상으로 유해물질 규제 대응, 친환경 전문 스킬, 온실가스 관리실무 등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운영
  • ‘유해물질 측정 전문가' 양성 교육 과정 운영
    • - 목적: 유해물질 관리/측정 기술 고도화 및 데이터의 신뢰도 향상
    • - 대상: 협력회사의 유해물질 검사장비 측정 담당자

자원: 자원 효율성 향상

재질/구조 개선

  • 개발 단계에서부터 제품의 부피와 무게를 최소화하고, 제품의 성능과 편리성을 향상시킨 제품 개발을 위한 재질/구조 개선활동 진행
  • 자원 활용성 확대와 폐기물의 저감을 위해 친환경 요소를 고려한 제품 개발

재활용 소재 사용

  • 자원 사용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제품의 안정성과 품질 신뢰성 테스트를 실시하여 재활용 소재 사용 확대
  • LG전자 제품 중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TV, 모니터 등의 제품군에서 재활용 소재 사용 중
  • 재활용 플라스틱의 적용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제품별 대체부품과 기술 개발 지속 촉진, 제품군별 재활용 플라스틱의 적용 분야 확대
(단위: 톤)
구분, 2021, 2022
구분 2021 2022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량 26,545 32,987
재활용 플라스틱 원료 사용량 12,533 16,209

친환경 포장 개선 사례

  • 자원사용 최소화를 위해 친환경 포장재 적용을 포함한 포장재의 소형화, 경량화 추진
  • 연도, 주요 내용
    연도 주요 내용
    2012년 ‘친환경 포장 설계 지침서’를 제작하여 TV, 휴대폰 등 일부 제품군 적용
    2013년 ‘친환경 포장 설계 지침서’ 전 제품 확대 적용
    2014년 포장재 사용량, 포장부피, 포장 공간의 저감/감량률 등에 대한 사업부별 추진목표 수립 및 실행
    2023년 폐스티로폼 50% 함유된 재활용 완충재 개발 및 적용
    친환경 인쇄, 일회용 플라스틱 제거 및 종이 완충제 적용 확대
  • 종이류 포장재의 재활용(펄프) 함유비율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함으로써 종이류 포장재의 재활용률 향상에 기여
  • 향후 포장 개선사례 발굴을 강화하고, 사업부별 친환경 포장 개발 추진목표를 달성하여 포장재 설계에 따른 자원의 효율적 사용 및 물류 최적화 등 친환경 활동 강화 예정

에너지: 에너지 효율성 향상

제품 에너지 효율성 향상

  • ‘기술로드맵(TRM: Technology Road Map)’을 기반으로 한 제품군별 세부 목표 수립 및 추진
  • ErP(Energy related Product) 등 글로벌 에너지규제 준수 및 자체 에너지 관련 목표 및 세부전략 수립
하단 참조 하단 참조
  • 제품군별 기술 로드맵 (TRM) 수립
  • 개발 단계별 에너지 효율 목표 설정
  • 제품별 에너지 효율 극대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 주력 제품 중심으로 제품 전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공개
  • 제품 전과정의 각 단계별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해 제품의 경량화, 자원 절감, 에너지효율 증대 등 친환경성 개선 활동 추진
  • 에너지 고효율 제품 개발 및 판매를 통해 사용단계에서의 온실가스 배출 저감
  • 고효율 에너지 기술을 적용한 제품 확대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