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는 지속가능경영과 관련된 중요 이슈를 도출하기 위해 GRI, UN SDGs, SASB, RBA, TCFD 등 글로벌 지속가능경영 이니셔티브 및 평가제도를 적극 활용하였습니다. 또한, 도출된 이슈를 회사의 비전 및 전략, 전자업계 산업이슈, 미디어 노출, 내외부 설문조사 등을 통해 종합적 관점에서 중요 이슈의 우선순위와 영향력을 평가하였습니다.
01Research
이슈 Pool 기초 분석
글로벌 지속가능경영 국제표준 및 이니셔티브, 평가제도 분석과 동종산업 우수사례, 미디어 리서치 등을 통해 지속가능경영 분야의 트렌드 파악
02Analysis
이슈 Pool 도출
표준 및 평가제도, 최신 동향, 내부 현황, 외부 이해관계자 관점을 종합하여 LG전자의 지속가능경영 추진과 연계된 이슈 풀 39개 구성
03Assessment
이슈 중요도 측정
39개 이슈 풀 중에서 LG전자가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이슈를 파악하기 위해 이해관계자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각 이슈의 중요도 평가
04 Review and Report
중요성 평가 및 보고
이슈 우선순위 결정 과정을 통해 15개의 중요 이슈를 도출하였으며, 선정된 이슈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을 투명하게 공개
이해관계자 참여
LG전자는 지속가능경영을 추진함에 있어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에, 국내외 임직원, 고객, 협력회사, 투자자 등을 LG전자의 주요 이해관계자로 설정하여 LG전자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경영활동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이해관계자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LG전자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하여 경영활동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정보를 공 시하고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강화하겠습니다.
* 설문조사 결과: 이해관계자 설문조사는 내부 이해관계자(한국, 해외 임직원)와 외부 이해관계자(고객, 협력회사, 지역사회, ESG 전문가 등)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설문 결과는 6개 영역별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기록한 이슈를 기준으로 정리하였습니다.
내부 이해관계자 설문조사 - 임직원(한국)
내부 이해관계자 설문조사 - 임직원(한국) 표, Number, 영역 구분, 영역별 이슈, 응답률(%)
No.
영역 구분
영역별 이슈
응답률(%)
1
경제/지배구조
투명한 정보 공개
48.1
2
임직원
인재유치 및 유지
66.4
3
환경
온실가스/에너지 배출량 감축
46.4
4
고객
고객 커뮤니케이션 강화
54.1
5
지역사회
전략적 사회공헌 추진
79.5
6
협력회사
동반성장 프로그램 운영
67.9
내부 이해관계자 설문조사 - 임직원(해외)
내부 이해관계자 설문조사 - 임직원(해외) 표, Number, 영역 구분, 영역별 이슈, 응답률(%)
No.
영역 구분
영역별 이슈
응답률(%)
1
경제/지배구조
기술 혁실 및 R&B
58.3
2
임직원
일과 삶의 균형 추구
80.6
3
환경
온실가스/에너지 배출량 감축
47.2
4
고객
고객 커뮤니케이션 강화
47.2
5
지역사회
전략적 사회공헌 추진
79.5
6
협력회사
동반성장 프로그램 운영
66.7
외부 이해관계자 설문조사 - 고객
외부 이해관계자 설문조사 - 고객 표, Number, 영역 구분, 영역별 이슈, 응답률(%)
No.
영역 구분
영역별 이슈
응답률(%)
1
경제/지배구조
투명한 정보 공개
44.0
2
임직원
인재유치 및 유지
48.7
3
환경
온실가스/에너지 배출량 감축
51.0
4
고객
제품 및 서비스 품질 관리
67.8
5
지역사회
전략적 사회공헌 추진
76.2
6
협력회사
동반성장 프로그램 운영
75.4
외부 이해관계자 설문조사 - 협력회사, 언론/지역사회, 학계/ESG 전문가, 주주/투자자 등
외부 이해관계자 설문조사 - 협력회사, 언론/지역사회, 학계/ESG 전문가, 주주/투자자 등 표, Number, 영역 구분, 영역별 이슈, 응답률(%)
No.
영역 구분
영역별 이슈
응답률(%)
1
경제/지배구조
ESG 경영의 체계적 추진
44.9
2
임직원
인재유치 및 유지
59.0
3
환경
온실가스/에너지 배출량 감축
56.4
4
고객
제품 및 서비스 품질 관리
55.1
5
지역사회
전략적 사회공헌 추진
74.4
6
협력회사
협력회사 ESG 리스크 분석 및 개선
57.7
중대성 평가 결과
중요 이슈 구분 및 보고, 번호, 중대 이슈, GRI Standards 정보공개 항목, 보고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