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경영
LG전자는 기업의 가치를 창출하여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고민하고 실천합니다
LG전자는 운영 전 영역에 걸쳐 탄소 중립을 추구하며
자원순환 경제에 기여하는 기업을 지향 합니다.
미래세대를 위한 제품과 서비스
1987년 유엔환경계획(UNEP)의 세계환경개발위원회(WCED)는 “우리 공동의 미래(Our Common Future)”라는 보고서를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였습니다.
보고서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미래세대가 그들의 요구를 총족할 능력을 타협하지 않으며 현재 세대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발전’이라 정의하며 미래세대의 지속가능성 확보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LG전자의 제품과 서비스에는 고객과 환경 및 사회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어떻게 더 기여할 수 있을 지에 대한 고민과 노력이 담겨있습니다.
-
1) 에코인덱스 평가 기준
에코인덱스 평가 기준 표, 분야/등급, Green 1 Star, Green 2 Star, Green 3 Star 분야/등급 Green 1 Star Green 2 Star Green 3 Star 인간
(Human)유해물질 규제만족 자발적으로 선행하여 유해물질대체 에너지
(Energy)에너지 규격만족 시장평균 효율달성 경쟁우위 고효율 확보 자원
(Resource)재활용 규제만족 자원 효율성 향상 설계 혁신
(Innovation)친환경 제품 선행 활동 수행
(대내/외 인증, 선행기술개발 등)2) Green 3 Star 제품 개발 성과
(단위: %)Green 3 Star 제품 개발 성과 표, 2018, 2019, 2020 2020 2019 2018 46 41 48 ※ 개발 프로젝트 수 기준3) 제품 전과정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 수행)
LG전자는 제품 전과정에서 환경이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관리하고자 ‘제품 전과정평가 기법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LCA는 제조, 유통, 사용, 폐기 등의 제품주기별 환경영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개선점을 도출하고 개선성과를 검증하는 국제규격(ISO 14040 시리즈)화된 환경성 평가 기법으로 친환경 제품 개발에 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2011년에는 주요 제품군을 대상으로 전과정 목록분석(LCI: Life Cycle Inventory)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매년 TV, 모니터, 세탁기, 냉장고, 상업용·가정용 에어컨, 휴대폰 등 7개 제품군에 대한 LCA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LG전자는 2018년 전과정평가 경험과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개발 단계에서 지구온난화, 자원 고갈, 오존층 파괴 등 13개의 영향범주로 제품의 환경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간이 전과정평가(Simplified LCA) 툴(Tool)을 개발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사전에 잠재적인 환경영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활용하여 친환경제품 개발에 적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LG전자는 홈페이지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해 고객에게 자사 제품의 지구온난화 영향, 탄소배출량 정보를 공개하고 이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탄소성적표지(한국), Carbon Trust 인증(유럽) 등 제3자 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이 밖에도 한국 산업통상자원부 인증 녹색기술을 노트북, 모니터 등의 제품에 확대 적용하고 있습니다.
- 제품 전과정평가 추진 경과
- 1995
전과정평가 기법 도입
- 2002
주요 제품군 전과정평가 수행 및 제3자 인증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TV, 모니터, 휴대폰)
- 2009
주요 제품군 탄소배출량 산정 및 결과 공개
- 2011
전 과정 목록 분석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제 3자 인증
- 2016
주요 제품군 개발 단계 전과정평가 의무화, 간이 전과정평가 Tool 개발
- 2018
간이 전 과정 평가 Tool 기능 개발 및 기능 개선 (지구온난화 포함 13개 영향 범주로 확대)
- 1995
- 제품 전과정 탄소배출량 산정 (단위: %)
전과정단계, 제조 전, 제조, 수송, 사용, 폐기 전과정단계 제조 전 제조 수송 사용 폐기 휴대폰 20.35 0.004 8.18 71.15 0.32 세탁기 25.44 0.39 0.44 70.12 3.61 모니터 10.97 0.04 0.34 88.27 0.38 냉장고 13.14 0.17 0.97 84.69 1.03 TV 16.26 0.03 0.39 82.47 0.85 상업용 에어컨 3.71 0.05 0.04 96.06 0.15 가정용 에어컨 7.07 0.09 0.09 91.89 0.85 - 산업자원부 녹색기술 인증 현황
기술 명칭, 인증일자, 유효기간 기술 명칭 인증일자 유효기간 백라이트 밝기 조정을 통한 모니터 소비전력 저감 기술 2016.03.10 2022.03.09 노트북용 대기전력 저감 기술 2016.02.18 2022.02.17 Control IC 내부 X-capacitor 방전 기능을 적용한 TV 대기전력 절감 기술 2018.05.17 2021.05.16
- 제품 전과정평가 추진 경과
전략목표: 포장재 재사용
- 제품 포장재 재사용 확대(~2030)
LG전자는 제품 생산 후, 고객에게 배송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는 등 친환경 요소들을 고려한 경영전략을 추구하며 관련 활동들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포장재 감량 및 부피 저감, 재사용 및 재활용 확대 등의 지침을 담은 ‘친환경 포장 설계 지침서’를 개발한 후 이를 전 제품으로 확대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LG전자는 포장재 재사용 가능성 평가 시범 사업을 통해 폐기물 발생량을 저감하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LG전자는 폐기물 발생량 저감을 위해 제품 포장재 재사용을 확대하는 등 친환경 요소를 고려한 경영활동을 통해 환경 부담 최소화에 기여하겠습니다.
전략목표: 폐전기전자제품
- 2006년 이후 폐전기전자제품 누적 회수량 450만 톤 달성(~2030)
LG전자는 전 세계 각 지역에서 폐가전 회수·처리 규제를 준수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회수를 위한 기반 시설을 구축하여 보다 나은 미래 환경을 구현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2030년까지 폐전기전자제품 누적 회수량 450만 톤을 달성하기 위해 회수된 제품의 재활용 비율을 확대하고, 원자재의 효율적 사용 및 재활용 가능성을 고려한 제품을 설계하는 등 다양한 폐전기전자제품 회수·처리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LG전자는 향후 자원의 채굴 및 조달, 제품 생산, 제품 유통, 소비 및 폐기에 이르기까지 제품의 전 단계에서 경제성과 환경 요소를 고려하는 자원순환 경제를 실현해 나갈 것입니다.
전략목표: 사업 지속 개발
- 미래지향적, 친환경적, 인류보편적 가치가 반영된 사업 지속 개발
LG전자는 고성능·고품질의 태양전지 모듈 제공 및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해 태양전지 사업 경쟁력을 확보하고 고객에게 지속적으로 에너지 사용에 대한 가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제품 경쟁력 강화를 위해 모듈의 출력을 개선하고 있으며, 제품 원가 절감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통해 총원가를 개선해 나가고 있습니다. 향후 LG전자는 태양광발전 부품 및 솔루션에 대한 비즈니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관련 응용 제품 시장에도 진입하여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해 나갈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