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익스플로러(IE)는 6월 15일 지원이 종료되어 LGE.COM 홈페이지는 엣지(Edge)와 크롬(Chrome) 브라우저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원활한 사용을 위해 최적화된 브라우저를 설치하시면 홈페이지를 정상적으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전스스로 해결

[LG 김치냉장고 온도] 김치가 빨리 익어서 쉬었어요

  • 2023.07.12
  • 조회 44,267

김치냉장고에 김치를 보관했는데 예상보다 빨리 익었나요? 너무 발효되어 김치가 쉬었나요?

이런 원인/증상이 있나요?

  • 김치냉장고의 보관 온도가 김치에 맞게 설정되어 있지 않아요.
  • 보관 기능이 아닌 익힘 기능으로 사용하고 있어요.
  • 김치를 싱겁게 담갔어요.
  • 김치 표면이 드러나 있어요.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김치를 담그면 유산균에 의해 발효가 일어나면서 익게됩니다.
유산균은 김치의 상쾌한 맛을 내주는 한편 부패균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지요.
그런데 김치냉장고를 보관 기능이 아닌 익힘 기능으로 사용하면 냉기가 약해 더 빨리 익을 수 있습니다.
또 김치를 싱겁게 담갔거나 김치가 바깥 공기와 만나도 김치가 더 빨리 익거나 쉴 수 있어요.

이렇게 해보세요.

김치냉장고의 보관 온도가 적절한가요?

➔ 김치의 종류와 염도에 맞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주세요.

갓 담근 김치를 보관하려면 [맛지킴김치] 기능을 선택해 주세요.
이때 김치가 빨리 익거나 쉰다면 보관 온도를 [중]이면 [강]으로, [약]이면 [중]으로 조절해 냉기를 강하게 사용해주세요.
또 물김치나 무김치같이 싱거운 김치는 [약], 배추김치나 갓김치같이 적당한 염도의 김치는 [중], 묵은 김치같이 짠 김치는 [강]으로 설정하면 적당합니다.

스탠드형 김치냉장고 기능 조절하기
1. 제어창에서 [잠금 풀림] 버튼을 2초 정도 길게 눌러 먼저 잠금을 풀어줍니다.
잠금 풀림 버튼을 눌러 잠금 해제하는 모습
2. [좌칸] [우칸] [중칸] [하칸] 가운데서 원하는 칸을 선택해 버튼을 반복해 누르면 각각의 기능에 불이 들어오면서 기능이 바뀝니다.
예를 들어 [하칸] 버튼을 누르면 차례로 [맛지킴김치(중→강→약)]→[야채 / 과일(중→강→약)]→[쌀 / 잡곡]→[육류 / 생선]→[오래보관]→[하칸 꺼짐]이 선택됩니다.
하칸 버튼 눌러 기능 변경하는 모습
3. 마지막으로 제어창에서 [잠금 풀림] 버튼을 다시 한번 누르면 설정한 기능이 작동합니다.
[잠금 풀림]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60초가 지나면 자동으로 설정한 기능이 작동합니다.
잠금 풀림 버튼을 눌러 잠금 활성화하는 모습
4. 제품의 모델에 따라 온도 조절 버튼의 위치가 다를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제품 사용설명서를 참고하세요.
※ 더 자세한 방법이 알고 싶다면  온도와 기능 설정 방법이 궁금해요를 클릭해주세요.

보관 기능이 아니라 익힘 기능을 사용하고 있나요?

➔ 익은 김치를 넣을 때는 [맛지킴김치]나 [오래보관] 같은 보관 기능으로 설정해주세요.

보관 기능을 사용하면 익힘 기능에 비해 온도가 더 낮게 설정되어 김치가 익는 속도를 늦춰줍니다.

맛지킵김치 모드 표기 예시
보관할 식품의 종류나 김치의 염도에 따른 리스트
구분 물김치
무김치
(싱겁다)
배추김치
갓김치
(적당하다)
묵은 김치
(짜다)

맛지킴김치

얼 수 있음

얼 수 있음

적당

맛지킴김치

얼 수 있음

적당

쉴 수 있음

맛지킴김치

적당

쉴 수 있음

쉴 수 있음

좌,우로 움직여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잠깐! 더 알아보세요.

설정온도

맛지킴김치(약, 중, 강), 야채/과일(약, 중, 강), 육류/생선, 쌀/잡곡, 냉동, 냉장(약, 중, 강) 리스트
맛지킴김치 야채/과일 육류/
생선
쌀/
잡곡
냉동 냉장
-1.0℃ -1.5℃ -2.0℃ 3.5℃ 2.5℃ 1.5℃ -2.0℃ 10℃ -19℃ 3℃ 2℃ 1℃

좌,우로 움직여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김치냉장고를 구입할 때 들어 있는 LG전자 김치냉장고 전용 용기에 넣어 보관해주세요.
다른 통에 넣으면 김치냉장고에서 냉기가 잘 순환되지 않아 김치가 얼 수 있습니다.
※ 모델별 설정온도는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김치의 염도가 낮아 효소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상태인가요?

➔ 김치를 조금 짜게 담가주세요.

김치는 소금에 절이는 순간부터 발효가 시작되어 서서히 익어갑니다.
금방 먹을 김치는 싱겁게 담가도 괜찮지만 김장김치는 조금 더 짜게 담가야 쉬지 않고 오래 저장할 수 있습니다.
보관 온도가 같더라도 김치의 염도가 낮으면 김치가 쉽게 얼고 그러면서 쉬거나 물러질 수도 있습니다.
또한 김치를 무르게 하는 젓갈, 설탕, 화학조미료도 적게 사용해 주세요.

김치 국물 위로 김치 표면이 드러나 있나요?

➔ 김치를 보관할 때 김치 국물에 완전히 잠기도록 해서 바깥 공기를 차단해 주세요.

김치가 심하게 발효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김치 표면을 위생 비닐로 덮어주고 김치가 김치 국물에 잠기도록 꾹꾹 누르거나 누름돌을 사용해 주세요.

김치를 위생 비닐로 덮어주는 모습

이 콘텐츠는 공용으로 제작되어 구입한 제품과 다른 이미지나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