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스스로 해결

[LG 세탁기 얼룩] 세탁기를 사용하고 나서 옷에 없던 얼룩이 생겼어요

  • 2023.06.22
  • 조회 20,893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세탁기를 사용하고 옷감에 지방산[화장품 원료 및 동/식물성 오일]의 성분이 묻는 경우, 세탁 이후에도 성분이 남아 있어 건조 이후 얼룩으로 보입니다.

화장품 원료

➔ 보습 크림, 바디 오일 등의 원료로 화장품이 옷감에 묻어 발생합니다.

식물성 오일

➔ 과자 등의 식품 제조사 사용 원료로 된 식품이 옷감에 묻어 발생합니다.

팜유[Palm Oil]란?
섬유유연제의 원료로 희석되지 않은 유연제가 직접 옷감에 닿거나 생산된지 오래된 섬유유연제 사용시 발생합니다.

동물성 오일

➔ 버터 등의 식품 제조시 사용 원료로 식품이 옷감에 묻어 발생합니다.

이렇게 해보세요.

제거 방법

얼룩을 제거 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따뜻한 물에 충분히 적신 후 주방 세제를 얼룩 부위에 발라 애벌세탁 후 세탁기 세척을 해주세요.
2. 주방 세제가 효과가 없을 경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얼룩 제거제를 이용하여 제거해 주세요.

※ 주방 세제는 세탁 세제보다 지방산 성분 제거에 더 효과적인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유사 사례
실제 세탁기, 건조기 사용 고객 의류를 분석했습니다.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성분 분석 결과]
스쿠알렌
피부의 피지에 함유 또는 화장품의 기능성 원료입니다.
고객 얼룩 사례 : 스쿠알렌
콩기름
화장품, 잉크, 식용유에 사용되는 성분입니다.
고객 얼룩 사례 : 콩기름
광유
베이비 오일 및 화장품의 원료입니다.
고객 얼룩 사례 : 광유

➔ 비누 성분이 옷에 묻으면 얼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유사 사례
팜유[Palm Oil]
보습용 Oil, Cream, 비누 등 다양한 생활용품에 활용됩니다.
고객 얼룩 사례 : 팜유[Palm Oil]

➔ 식용유, 소스 등의 기름 성분이 옷에 튀거나 묻어 있는 경우 또는 드라이클리닝 솔루션[유기용제]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세탁기로 세탁할 경우에 얼룩이나 이물이 묻어나올 수 있습니다.

세탁물에 묻거나 남아있는 오염 성분[기름 성분이 많은 얼룩 또는 유기용제]에 따라 세탁 후 얼룩이나 이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세탁기에 의해 발생한 얼룩이 아니라 이미 옷에 묻어 있던 오염 성분이 세탁 시 물과 반응하여 얼룩처럼 번져 보이는 현상입니다.
본인도 모르게 옷감에 오염 성분이 묻거나 남아 있는 상태에서 세탁을 할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사 사례
코코넛 오일
식재료입니다.
고객 얼룩 사례 : 코코넛 오일
해바라기유
식재료입니다.
고객 얼룩 사례 : 해바라기유
우지(소기름)
식재료입니다.
고객 얼룩 사례 : 우지[소기름]
향료
방향제 또는 식품 첨가물에 의한 얼룩입니다.
고객 얼룩 사례 : 향료
잠깐! 더 알아보세요.
제품 생산 및 반입 수리 시 옷감이 회전하는 드럼 내부 청소는 화학약품 및 세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에어건 및 1회용 수건으로 먼지를 제거하고 버리기 때문에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이 콘텐츠는 공용으로 제작되어 구입한 제품과 다른 이미지나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