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드라이브의 복구 키를 입력하십시오."라는 메시지가 발생한다면, BitLocker 복구키를 입력하거나, 복구키 분실시 스마트폰이나 주변의 다른 PC를 이용하여 MS BitLocker 복구키 사이트에 접속하여 해제할 수 있습니다.
BitLocker는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하드디스크 암호화 기능이며, 이 보안 기능 설정된 경우에 TPM 초기화 , BIOS보안 초기화 , 메인보드 교체 등으로 인해 복구 키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이런 원인이 있어요.
- Modem Standby 적용 제품. (1xz90n 이후 모델)
- Microsoft 계정 사용. (로컬 계정 사용시 자동 설정 안 됨)
- TPM 활성화(Enabled) : BIOS의 TPM 기능이 ON 상태여야 함.
- UEFI Secure Boot 활성황(Enabled) : BIOS의 Secure Boot 기능이 ON 상태여야 함.
Windows 10, 11 Home 기준으로 아래 4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될 경우, 장치 암호화는 자동 활성화 됩니다.
복구 키는 BitLocker를 설정할 때 생성되며, 파일로 저장하거나 Microsoft 계정에 저장하는 등의 방법으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복구 키를 입력하여 BitLocker 잠금을 해제한 후, 드라이브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 만약 복구 키를 분실한 경우, BitLocker로 암호화된 드라이브에 액세스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BitLocker 복구 키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렇게 해보세요.
Bios(바이오스) 기본값으로 설정하기
PC 전원을 켜자마자 [F2] 키를 연타로 계속 눌러주세요. (데스크톱의 경우 [delete] 키를 눌러 주세요.)
※ SSD 가 탑재 된 제품의 경우 부팅 속도가 매우 빨라 시스템 전원을 켜자마자 키보드 [F2] 를 연타로 눌러 주세요.
한 번에 Bios로 진입이 안 될 경우 다시 시도해 주세요.
Bios 진입하여 [F9] 키를 눌러 [Load Setup Defaults] 진행 후 [F10] 키를 눌러 저장하고 재 부팅해 주세요.
※ 재 부팅 이후에도 BitLocker 복구 키 입력 창이 나오는 경우, MS계정 로그인하여 BitLocker 복구 키를 확인해 주세요.
MS계정으로 BitLocker(장치 암호화) 복구키 확인 방법
스마트폰이나 주변의 다른 PC를 이용하여 MS BitLocker 복구키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 http://aka.ms/myrecoverykey )
Microsoft 계정(이메일 주소 형식)에 로그인 합니다.
[본인 여부 확인] 확인을 위한 인증 수단을 선택 후 전송된 코드를 입력하고 [코드 전송]를 클릭해 주세요.
※ 메일 받기, 문자 메시지 받기, 음성 메시지 받기 중 한가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위에 입력한 이메일 주소로 MS 계정 [보안 코드] 7자리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보안 코드 7자리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장치 이름 / 키 ID]를 확인하여 48자리의 숫자로 된 복구 키를 확인 하여 BitLoker 해제해 주세요.
BitLocker(장치 암호화) 끄는 방법
➔ Windows 11 - 작업 표시줄에서 시작 >
설정 >
개인 정보 및 보안 > 장치 암호화 [켬 > 끄기]를 선택해 주세요.
➔ Windows 10 - 작업 표시줄에서 시작 >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 장치 암호화 > [끄기]를 선택해 주세요.
"장치 암호화를 끄시겠습니까?" 창이 표시되면 [끄기]를 선택합니다.
"암호 해독 진행 중입니다."라고 나오며, 현재 장치의 드라이브 암호화가 해제됩니다.
해당 작업이 완료되려면 "장치 암호화가 꺼져 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때까지 기다려 주세요.
※ 저장 장치의 종류와 용량에 따라, 짧게는 10분에서 길게는 2시간 이상 소요될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는 공용으로 제작되어 구입한 제품과 다른 이미지나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