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청정기를 작동하는데도 실내 먼지 농도가 높게 측정되나요?
이런 원인/증상이 있나요?
- 환기 시스템으로 외부의 공기가 들어오고 있어요.
- PM1.0(먼지) 센서가 오염되어 있어요.
- 가습기와 공기청정기를 함께 가동하고 있어요.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실내 공기질 관리법에 따라 공동주택에는 공기 정화 장치나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건물 밖으로 내보내고, 바깥의 신선한 공기를 건물 안으로 순환시킵니다.
하지만 실외 미세 먼지 농도가 높은 날에는 환기 시스템을 통해 바깥 먼지가 집안으로 들어와 실내 미세 먼지 농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보세요.
제품 주변에 가습기를 함께 사용하시나요?
퓨리케어 공기청정기에 적용된 먼지 센서는 초음파식/가열식 가습기에서 뿜어져 나오는 물 분자를 먼지 입자로 인식합니다.
초음파식/가열식 가습기와 동시 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가습기 사용을 원하신다면 자연기화식 가습기 사용을 추천드립니다.
초음파/가열식 가습기의 물 분자에 포함된 스케일은 필터 수명 저하의 원인이 됩니다.
실내에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나요?
실내 환기 시스템을 잠시 끈 다음 공기청정기를 작동해주세요.
미세 먼지가 많은 날에는 바깥의 공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집안의 환기 시스템을 닫거나 전원을 꺼주세요.
환기 시스템은 주로 베란다 쪽 창문 위나 다용도실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아파트의 경우 거실 벽면에 설치된 월패드에서 환기 시스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다음 클린부스터 기능을 선택하여 순환팬 세기를 [강] 또는 [터보]로 설정하면 보다 빠르게 실내 미세 먼지 농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PM1.0 센서를 청소한 지 오래 되었나요?
PM1.0 센서는 2달에 한 번씩 청소해주세요.
공기청정기 뒷면 덮개를 분리한 다음 [PM1.0 SENSOR]로 표시된 센서의 덮개를 열어주세요.
그다음 안쪽 10시 방향에 있는 렌즈를 면봉에 물을 약간 묻혀서 닦아주세요.
이어 마른 면봉으로 렌즈를 닦아서 물기를 완전히 없앤 다음 공기청정기 덮개를 조립해주세요.
더 자세한 방법이 알고 싶다면 먼지 센서 청소 방법이 궁금해요 를 클릭해주세요.
제품 주변에 방향제나 향초가 있나요?
사용하는 제품에 냄새 센서가 있다면, 냄새가 나는 물건을 멀리 떨어뜨려주세요.
LG전자 공기청정기의 종합청정도는 실내 먼지 농도와 냄새 농도 중 나쁜 상태를 기준으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실내의 먼지 농도가 낮더라도 냄새 농도가 높으면 종합청정도가 [매우 나쁨]으로 표시될 수 있어요.
제품 주변에 냄새가 날 수 있는 물건이 있다면 멀리 떨어뜨려주세요.
또한 밀폐된 공간에서는 향초, 방향제 같은 물건에서 나오는 냄새 분자가 쌓일 수 있으니 주기적으로 창문을 열어 환기해주세요.
따라서 한 공간에 여러 대의 LG전자 공기청정기를 사용할 때, 제품 위치에 따라 종합청정도가 다르게 표시될 수 있어요.
또한 LG전자 공기청정기의 종합청정도는 실시간 먼지와 냄새 농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일정시간 동안 평균 농도를 측정하는 환경부 가이드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