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라이프

<1편>
AI 공기질 센서가 감지하는
오염원 파헤치기!

공기 중에는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유해가스가 있다는 점 알고 계셨나요?
우리가 사용하는 방향제와 향초, 가구에서도
유해가스는 발생할 수 있어요.
지금까지 몰랐었다면
이제 AI 공기질 센서가 감지해서 알려드려요!
공기 중 오염원에 대해 지금부터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1

미세먼지 3종

미세먼지 하면 황사, 라고만 생각하시기 쉽습니다.
황사는 집 안의 미세먼지 수치를 높일 수 있는
외부적인 요소가 맞지만,
덥거나 추운 우리나라 날씨 특성 상
창문을 닫고 생활할 때가 더 많습니다.
실내에서 생활하는 것만으로도 미세먼지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공기 중에는 보이지 않는 작은 먼지들이 떠다니고 있으며
크기에 따라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극초미세먼지로 구분됩니다.
너무 작아서 측정 단위도 ㎛(마이크로미터)로 이야기하는데,
일반적으로 아는 mm로 환산하면 0.001mm(밀리미터)입니다.
[발생 원인]

촛불&향초&인센스 사용 : 연소 과정에서 초미세먼지 발생
프린터&복합기 사용 : 정전기로 인해 초미세먼지 배출 가능
건조한 환경 : 공기 중 먼지가 잘 가라앉지 않고 떠다님
평소 생활할 때 : 소파에서 풀썩풀썩 하거나 겨울철 두꺼운 옷 등
요리할 때 : 가열하여 요리할 때 발생


#2

유증기

Oil Mist로 액체 상태의 기름이 공기중으로 증발하여 기체상태
또는 미세한 방울 상태로 공기중에 분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작은 입자부터 큰 입자까지 다양한 크기로 공기 중에 부유합니다.


[발생원인]
요리할 때 : 식용유 가열, 튀김 요리
(삼겹살, 고등어 굽기, 계란후라이 등)
#3

TVOC

TVOC라니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는데,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줄임말로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의미합니다.
수많은 종류의 휘발성 유기물질을 총칭하여 부릅니다.

휘발성 유기 화합물은 끓는 점이 낮아 쉽게 증발하며,
눈에 보이지 않지만 실내 공기질을 악화 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발생원인]
향수 / 헤어스프레이 / 청소제 / 세정제/ 가구 / 신축건물 / 리모델링 건물
#4

포름알데히드

강한 자극성과 독성을 가진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한 종류입니다.
무색의 기체 상태이며, 자극적인 냄새가 특징입니다.
포름알데히드는 한국 및 미국, 일본 등에서
인체 발암의심 물질로 정해져 있으며,
감작 반응 및 알러지 반응에 의한 직업성 천식 등 직업병을 유발하고 있어
주요 관심물질로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발생원인]
새집증후군&건축자재 / 가구&인테리어 자재
페인트&접착제 / 화장품&생활용품 / 담배연기
#5

이산화질소

붉은빛을 띠는 갈색 기체로, 강한 자극성과 독성을 가진
오염 물질입니다. 질소산화물(NOx)의 인체영향을 살펴보면,
일산화질소(NO) 보다는 이산화질소(NO₂)가 인체에
더욱 큰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가스레인지를 사용할 때와 같이 연료 연소 과정에서
주로 발생하며, 대기 중에서 미세먼지 및 오존과 반응하여
2차 오염을 유발합니다.


[발생원인]
가스레인지 / 난방기기 사용 / 흡연&담배 연기
#6

암모니아

암모니아는 우리가 냄새를 맡으면 바로 알 수 있는
자극적인 냄새가 특징으로,
무색의 기체이며
공기보다 가볍고 수용성이 강한 화합물입니다.
강아지와 함께 지낼 경우
소변에서 암모니아 냄새를
맡을 수 있습니다.


[발생원인]
화장실&배수구 / 반려동물 배설물
홍어 요리/ 음식물 쓰레기&부패한 유기물
청소용 세제&화학제품 사용/ 담배 연기
#7

냄새

공기 중에 존재하는 휘발성 화합물이 후각을 자극할 때
인식되는 감각으로 우리가 인식할 수 있는
자극 범위를 ‘냄새’라고 통틀어 부릅니다.
휘발성이 강한 유기화합물, 황화합물, 질소화합물 등이
냄새의 주요 원인입니다.


[발생원인]
음식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 / 화장실 냄새
담배 연기 냄새 / 반려동물 냄새 / 쓰레기 냄새
습기&곰팡이 냄새 / 옷장&신발 냄새

LG 퓨리케어 AI+ 공기청정기는
AI 공기질 센서로 3종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유증기, 냄새, 4종 유해가스까지
총 9가지 오염원을 정밀하게 감지해줍니다.

정밀하게 감지하고 알아서 청정하는 공기청정기를 만나보세요.

다음 편
공기질 나빠지면 몸이 제일 먼저 안다?
오늘은 공기 중의 어떤 오염원들이 있고
이것들이 어떻게 생겨나는지 알아보았는데요!

다음엔 이런 오염원들이 실내 공기에 있으면 왜 위험하고,
내 몸에 어떤 일들이 벌어지는지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


  • [출처]

    1. 미세먼지 : 환경부 대기환경정보 / 국립환경과학원
    2. 유증기 : 국립환경과학원 / 산업안전보건공단
    3. TVOC : 환경부 / 국립환경과학원 / 한국환경공단
    4. 포름알데히드 : 환경부 / 국립환경과학원 / 한국환경공단 / 산업안전보건공단
    5. 이산화질소 : 환경부 / 국립환경과학원 / 한국환경공단
    6. 암모니아 : 환경부 / 국립환경과학원 / 한국환경공단
    7. 냄새 : 환경부 / 국립환경과학원 / 한국환경공단

    * 유해가스 발생원인은 국가 기관에서 안내한 내용에 의거하여 일반적인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작성된 항목에서 반드시 유해가스가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 사용하시는 제품과 상황, 집안 환경에 따라 유해가스 발생 유무는 차이가 있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