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2 | ◆ 구글/칩셋 보안패치 - SPL 2019-01-05 및 SPL 2019-02-01 보안패치 적용 - CVE-2019-1986 외 2건 : Skia 2D 라이브러리 관련 수정 패치 - CVE-2017-17760 외 3건 : OpenCV 라이브러리 제거로 잠재 보안 위협 수정 - CVE-2019-1991 외 3건 : Bluetooth 보안 강화 - CVE-2019-1994 : 개발자 옵션 보안 취약성 개선 - CVE-2019-1997 : Wi-Fi 기능 사용시 보안 강화 - CVE-2019-1998 : 보안키 관리 체계 개선 - CVE-2019-10876 외 4건 : 파일시스템 신뢰성 향상 - CVE-2018-11962 : 오디오 보안 취약성 개선 - CVE-2018-11847 외 1건 : TrustZone 관련 수정 패치 - 그 외 Kernel memory, Audio driver, Data, GPS 관련 보안 패치 ◆ LG 보안패치 - LVE-SMP-180014 : LTE 프로토콜 보안 취약성 개선 적용모델 Q9 One(U+) |
2019-3 | ◆ 구글/칩셋 보안패치 - SPL 2019-02-05 및 SPL 2019-03-01 보안패치 적용 - CVE-2018-20346 : SQLite 보안 취약점 수정 - CVE-2019-1985 외 1건 : untrusted spell checker 사용시 사용자 경고하도록 수정 - CVE-2019-2004 : 키 및 터치 사용 시 보안 강화 - CVE-2019-2005 : GMS 패키지 설치 시 보안 강화 - CVE-2019-1989 외 1건 : Multimedia Codec 예외처리 강화 - CVE-2019-2006 외 2건 : Audio 동작 중 예외처리 강화 - CVE-2019-2010 외 13건 : NFC 동작 중 예외처리 강화 - CVE-2019-2018 : Google FRP (Factory reset protection) 보안 강화 - CVE-2018-10879 : 파일시스템의 메모리 손상 취약점 수정 - CVE-2018-11289 외 11건 : TrustZone 관련 수정 패치 - CVE-2018-11268 외 3건 : Qualcomm Modem Component 보안 취약점 수정 - 그 외 Bluetooth, Kernel memory, binder, bootloader, Data 관련 보안 패치 ◆ LG 보안패치 - LVE-SMP-190001 : Z3X 해킹툴에 의한 SIM unlock 공격 보안 강화 - LVE-SMP-190002 : Google Play Protect (GPP) 동작 안정성 강화 적용모델 G8 ThinQ, G7 ThinQ, Q9, Q6, Q9 One (U+), X5(2018)
|